피트 런의 <경제학이 숨겨온 6가지 거짓말>(원제 Basic Instincts)은 행동경제학이 발견한 인간은 이기적이지도 합리적이지도 않다는 관점으로 전통 경제학이 설명하지 못하는 일상 속에서 벌어지는 현상들을 재미있게 설명하는 책이다.
행동 경제학을 다룬 책들은 대체로 재미있게 잘 읽힌다. 일상생활에서 끌어 낸 사례들을 현실감 있게 잘 설명하기 때문이다. 이 책 또한 그렇다.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일까?
전통 경제학에서는 인간이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존재라는 전제하에 모든 논의를 이끌어 간다. 하지만 저자 피트 런은 전통 경제학자들이 관습적으로 채택해 온 합리적이라는 인간상은 우리 본성 가운데 일면만을 극단적으로 과장시켜 우스꽝스럽게 보인다고 말한다.
그는 우리가 어느 정도는 독립적, 합리적, 이기적인 물질주의자이기는 하지만, 전통경제학자들이 전제하는 것처럼 인간이 그렇게 합리적이지도, 이기적이지도 않다고 말한다.
피터 런은 전통경제학이 가정하는 인간상과는 달리, 현실의 인간은 다른 사람과 무언가를 교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은 여섯 가지 문제에 직면한다고 한다.
거래에서 발생하는 6가지 문제
전문 잡지에서 신뢰도 통계를 보고 전기 제품을 샀더라도 운(L, luck)이 나쁘면 툭하면 망가지는 제품을 사게 되거나, 처음부터 제품의 가치를 잘못 계산하는 실수(M, mistake)를 저지르거나, 제품 자체에 생각지도 못했던 결함이 들어 있을 수 있는 놀라움(S, surprise)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거래를 하는 환경, 또는 그 환경이 변함에 따라 3가지 문제점이 더 발생할 수 있다. 거래 상대방이 부정직(D, dishonest)할 수 있으며, 나중에 일어나는 사건(E, event)으로 인하여 획득한 물건의 가치가 변할 수도 있고, 상대방이 나보다 더 많은 정보(I, Information)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거래는 이 여섯 가지 장애물의 여러 조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이 여섯 가지 이유 중 하나로 인해 거래에서 손해를 보는 경우를 저자는 ‘MISLED’(잘못 이끌린, 속은)되었다고 말한다.
소비자가 경제 기회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갖는다는 전통 경제학의 단순한 전제에서는 ‘ MISLED’될 가능성이 있을 수 없지만, 피트 런은 거래의 역사가 함께 ‘MISLED’될 가능성이 함께 해 왔다고 한다.
거래가 시작된 초기부터 속임수를 피하는 기술은 생존을 위한 중요한 도구였을 것이고, 현대에도 그 기술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한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현실에서 자주 ‘MISLED’된 경험이 있을 것이다. “바가지 썼네, 당했네, 속았네, 광고에 순진하게 넘어갔어, 전문가한테 된통 걸린 거야.”라고 말할 때가 바로 그런 경우이다.
그래서 우리는 거래를 할 때 머뭇거리게 된다. 사려는 제품에 미세한 결함은 없는지, 상대방이 속일 의도는 없는지, 신뢰할 만한 거래 상대방인지 살피는 순간이다. 이는 우리들의 경제 본능이 우리에게 신중하라고, ‘MISLED’될 수 있다고 경고하기 때문이다.
거래에서 당하지 않으려면
일단 지름신이 강림하여 물건을 소유하고 나면 현실의 사람들은 자신의 소유물에 대해 애착을 느끼며 실제 가치보다 두 배가량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고 한다.
행동경제학자들은 이를 ‘보유효과(Endowment Effect)’라고 부르는데, 우리가 그런 성향을 가지는 것은 다른 물건과 맞교환할 때 일어날 수 있는 ‘MISLED’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인간은 오랜 진화의 과정을 통해 ‘MISLED’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익숙함을 찾는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사람들은 익숙함에서 멀어질수록 ‘MISLED’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본능적으로 느끼게 된다.
그런데 사람들은 단순히 자주 보아 온 것 만으로도 익숙함을 느낀다. 기업들이 거액을 들여 광고를 하는 이유다. 자사 제품을 광고를 통해 자주 노출 시키면 ‘단순 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가 생기고 소비자들은 그 제품에 익숙함을 느껴 결국은 지름신이 강림하게 된다.
소유는 익숙함을 낳고, 이러한 본능은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떠 않지 않으려는 ‘위험회피 성향’이나 구관이 명관이라는 ‘현상유지 편향(Status Quo Bias)’, 일단 무언가를 믿게 된 사람은 그 생각을 좀처럼 바꾸지 않으려는 ‘신념보존 편향(Belief Perseverance)’ 등과 연결된다.
이는 신중함과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우리들에게 있음을 보여준다.
인간은 자발적 호의 교환에 의존한다
나아가 저자 피터 런은 전통경제학에서 말하는 것처럼 인간은 단순히 상호 이득이 된다고 해서, 가격이 합리적이라고 해서 거래에 나서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가령 전통경제학의 관점에서 보면 개인이 창출한 이득은 당연히 개인에게 분배되어야 함에도 현실에서는 성과급여제를 실시하는 회사가 그렇게 많지 않다는 점이다.
인간은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라 조직 속에서 끊임없이 사회적 신호로 상호작용하며, 조직은 동료들 사이 또는 직원과 고용주 사이의 자발적 호의 교환에 크게 의존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사가 우수 직원을 불량 직원과 차별화하지 않으려는 ‘평균지향 편향(Centrality Bias)’이나 실적 나쁜 직원의 점수를 올려주는 ‘관대화 경향(Leniency Bias)’을 통해 개인 보다는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려는 경제 본능이 발동한다는 것이다.
행동경제학에서 가장 일관되게 나오는 연구결과는 집단 정체성이 경제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들이다.
예컨대, 죄수의 딜레마 게임, 최후통첩 게임, 신뢰 게임, 공공재 게임에서 참가자들은 집단 소속감을 강하게 느낄수록 집단 구성원들끼리 더 많이 협력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한다.
<경제학이 숨겨온 6가지 거짓말>은 전통 경제학의 고정관념을 뒤엎어버리는 관점을 많이 제공한다. ‘경쟁’이 화두가 되어버린 자본주의 사회에서 새겨들을 주장들이 많다.
그동안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이라는 전통 경제학의 망령에 포섭되어 소중한 가치들을 간과하지는 않았는지 자문해볼 필요가 있다.
답글 남기기